맨위로가기

1964년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64년 유러피언 네이션스컵은 1962년부터 1963년까지 예선을 거쳐 스페인에서 개최된 축구 대회이다. 예선에서 16강전과 8강전을 통해 스페인, 소련, 헝가리, 덴마크 4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스페인은 결승에서 소련을 2-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헝가리가 3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4년 스페인 - 1964년 하계 올림픽 스페인 선수단
    1964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스페인 선수단은 다양한 종목에 90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요트 핀급에서 은메달 1개를 획득했다.
  • 1964년 스페인 - 1964년 동계 올림픽 스페인 선수단
    1964년 동계 올림픽 스페인 선수단은 알파인 스키 종목에 선수들을 파견하여 남자 활강에서 호르헤 로드리게스가 19위를 기록하고, 남자 회전에서 하비에르 마사나가 25위를 기록했다.
  • 1964년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 레프 야신
    레프 야신은 FC 디나모 모스크바에서 22년간 활약하며 소련 리그 우승 5회 등을 달성하고 1963년 발롱도르를 수상한 소련의 전설적인 축구 골키퍼로, 소련 국가대표팀으로서 올림픽 금메달,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등을 경험했으며, 혁신적인 '스위퍼 키퍼' 스타일로 "검은 거미"라는 별명을 얻었다.
  • 1964년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 1964년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결승전
    1964년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결승전은 스페인이 소련을 2-1로 꺾고 우승을 차지한 대회로, 스페인의 첫 주요 국제 축구 대회 우승이며 마드리드의 에스타디오 산티아고 베르나베우에서 79,115명의 관중 앞에서 잉글랜드인 아서 홀랜드의 주심으로 진행되었다.
  • 1964년 6월 - 헬싱키 선언
    헬싱키 선언은 세계의사협회가 채택한 인간 대상 의학 연구의 윤리적 기준을 제시하는 선언으로, 개인 존중, 자기결정권, 정보에 입각한 동의를 중시하며 연구 참여자의 복지를 우선해야 함을 강조하지만, 개정 과정 논란과 일부 기관의 인정 거부로 권위와 미래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 1964년 6월 - 니가타 지진
    니가타 지진은 1964년 6월 16일 일본 혼슈 동해안에서 발생하여 쓰나미와 액상화 현상을 동반, 26명이 사망하고 477명이 부상했으며, 일본의 안전 불감증과 부실 공사에 대한 비판을 불러일으켜 지진 보험 제도 도입 및 도시 계획, 건축 기준 강화의 계기가 되었다.
1964년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대회 이름유럽 네이션스컵
연도1964
다른 이름유로코파 에스파냐 1964
개최국스페인
개최 기간6월 17일 – 6월 21일
참가 팀 수4
경기장 수2
도시 수2
결과
우승스페인
우승 횟수1
준우승소련
3위헝가리
4위덴마크
경기 수4
골 수13
총 관중수156253
최다 득점 선수베네 페렌츠 (2골)
노바크 데죄 (2골)
헤수스 마리아 페레다 (2골)
대회 흐름
이전 대회1960
다음 대회1968
기타 정보
UEFA 유로 1964 로고
UEFA 유로 1964 로고

2. 예선

1964년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본선 진출국


1964년 유러피언 네이션스컵의 예선은 1962년부터 1963년에 거쳐 진행되었다. 16강전을 거쳐 8강전에서 승리한 4개 팀이 본선에 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본선 진출 경로본선 진출 날짜과거 출전 대회
{{축구나라예선 최종 라운드 승자1963년 12월 18일첫 출전
{{축구나라 (개최국)예선 최종 라운드 승자1964년 4월 8일첫 출전
{{축구나라예선 최종 라운드 승자1964년 5월 23일첫 출전
{{축구나라예선 최종 라운드 승자1964년 5월 27일1회 (1960)



'''굵은 글씨'''는 우승한 대회를, ''이탤릭체''는 개최한 대회를 의미한다.

1964년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예선을 거쳐 스페인에서 열리는 본선에 진출한 4개 팀은 다음과 같다.



2. 1. 본선 진출팀

1964년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예선를 거쳐 스페인에서 열리는 본선에 진출한 4개 팀은 다음과 같다.

3. 개최 도시 및 경기장

마드리드바르셀로나
산티아고 베르나베우캄 노우
수용 인원: 110,000수용 인원: 93,053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경기장
캄 노우


4. 선수 명단



5. 심판

wikitable

국가주심담당 경기
벨기에아르튀르 블라비에준결승: 스페인 2–1 헝가리
잉글랜드아서 홀란드결승: 스페인 2–1 소련
이탈리아콘체토 로 벨로준결승: 덴마크 0–3 소련
스위스다니엘 멜레3위 결정전: 헝가리 3–1 덴마크


6. 경기 결과



결승전을 제외한 모든 경기에서 필요할 경우 연장전과 동전 던지기를 사용하여 승자를 결정했다. 결승전이 연장전 후에도 동점일 경우, 승자를 결정하기 위해 재경기가 치러졌다.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인 CET (UTC+1)를 따른다.''

==== 결선 토너먼트 ====

결승전을 제외한 모든 경기에서 필요할 경우 연장전과 동전 던지기를 사용하여 승자를 결정했다. 결승전이 연장전 후에도 동점일 경우, 승자를 결정하기 위해 재경기가 치러졌다.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인 CET (UTC+1)를 따른다.''

1964년 6월 17일 마드리드의 에스타디오 산티아고 베르나베우에서 열린 스페인헝가리의 준결승전은 연장전 끝에 스페인이 2-1로 승리했다. 페레다가 전반 35분에 선제골을 넣었으나, 후반 84분 베네가 동점골을 넣어 연장전으로 이어졌다. 연장전에서 아만시오가 115분에 결승골을 넣어 스페인이 결승에 진출했다.

같은 날 바르셀로나의 캄프 누에서 열린 덴마크소련의 준결승전에서는 소련이 3-0으로 완승을 거두었다. 보로닌, 포네델니크, 이바노프가 각각 득점했다.

6월 20일 캄 노우에서 열린 3, 4위전에서는 헝가리덴마크를 연장전 끝에 3-1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 베네의 선제골과 베르텔센의 동점골로 연장전에 돌입했고, 노바크가 페널티킥을 포함해 두 골을 추가하여 헝가리가 승리했다.

6월 21일 산티아고 베르나베우에서 열린 결승전에서는 스페인소련을 2-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페레다와 후사이노프가 각각 득점하여 1-1 상황에서 마르셀리노가 결승골을 기록했다.

==== 4강전 ====

1964년 6월 17일 20:00 (현지 시각), 스페인 마드리드의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경기장에서 열린 스페인헝가리의 경기에서 스페인이 헝가리를 연장전 끝에 2-1로 이겼다. 스페인의 페레다가 전반 35분에 선제골을 넣었고, 헝가리의 베네가 후반 84분에 동점골을 넣어 승부를 연장전으로 끌고 갔다. 연장전에서 스페인의 아만시오가 115분에 결승골을 넣어 스페인이 승리했다. 이 경기의 관중 수는 34,713명이었다.

같은 날 22:30 (현지 시각),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캄프 누에서 열린 덴마크소련의 경기에서 소련이 덴마크를 3-0으로 완파했다. 소련의 보로닌이 전반 19분에 선제골을 넣었고, 포네델니크가 전반 40분에 추가골을, 이바노프가 후반 87분에 쐐기골을 넣었다. 이 경기의 관중 수는 38,556명이었다.

==== 3·4위전 ====

1964년 6월 20일 20시, 헝가리바르셀로나의 캄프 누에서 열린 덴마크와의 3·4위전에서 연장전 끝에 3-1로 승리했다. 헝가리의 베네가 전반 11분에 선제골을 넣었으나, 덴마크의 베르텔센이 후반 82분에 동점골을 기록했다. 연장전에서 노바크가 페널티킥을 포함해 두 골을 추가하며 헝가리가 3위를 차지했다. 이날 경기의 관중 수는 3,869명이었다.

==== 결승전 ====

1964년 6월 21일, 스페인마드리드의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경기장에서 열린 1964년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결승전에서 소련을 2-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페레다가 전반 6분에 선제골을 넣었지만, 2분 뒤 후사이노프에게 동점골을 허용했다. 이후 마르셀리노가 후반 84분에 결승골을 기록하며 스페인의 승리로 경기가 종료되었다. 이날 경기는 79,115명의 관중이 운집한 가운데 진행되었으며, 잉글랜드의 아서 홀랜드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

6. 1. 결선 토너먼트



결승전을 제외한 모든 경기에서 필요할 경우 연장전과 동전 던지기를 사용하여 승자를 결정했다. 결승전이 연장전 후에도 동점일 경우, 승자를 결정하기 위해 재경기가 치러졌다.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인 CET (UTC+1)를 따른다.''

1964년 6월 17일 마드리드의 에스타디오 산티아고 베르나베우에서 열린 스페인헝가리의 준결승전은 연장전 끝에 스페인이 2-1로 승리했다. 페레다가 전반 35분에 선제골을 넣었으나, 후반 84분 베네가 동점골을 넣어 연장전으로 이어졌다. 연장전에서 아만시오가 115분에 결승골을 넣어 스페인이 결승에 진출했다.

같은 날 바르셀로나의 캄프 누에서 열린 덴마크소련의 준결승전에서는 소련이 3-0으로 완승을 거두었다. 보로닌, 포네델니크, 이바노프가 각각 득점했다.

6월 20일 캄 노우에서 열린 3, 4위전에서는 헝가리덴마크를 연장전 끝에 3-1로 꺾고 3위를 차지했다. 베네의 선제골과 베르텔센의 동점골로 연장전에 돌입했고, 노바크가 페널티킥을 포함해 두 골을 추가하여 헝가리가 승리했다.

6월 21일 산티아고 베르나베우에서 열린 결승전에서는 스페인소련을 2-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페레다와 후사이노프가 각각 득점하여 1-1 상황에서 마르셀리노가 결승골을 기록했다.

6. 2. 4강전

1964년 6월 17일 20:00 (현지 시각), 스페인 마드리드의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경기장에서 열린 스페인헝가리의 경기에서 스페인이 헝가리를 연장전 끝에 2-1로 이겼다. 스페인의 페레다가 전반 35분에 선제골을 넣었고, 헝가리의 베네가 후반 84분에 동점골을 넣어 승부를 연장전으로 끌고 갔다. 연장전에서 스페인의 아만시오가 115분에 결승골을 넣어 스페인이 승리했다. 이 경기의 관중 수는 34,713명이었다.

같은 날 22:30 (현지 시각),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캄프 누에서 열린 덴마크소련의 경기에서 소련이 덴마크를 3-0으로 완파했다. 소련의 보로닌이 전반 19분에 선제골을 넣었고, 포네델니크가 전반 40분에 추가골을, 이바노프가 후반 87분에 쐐기골을 넣었다. 이 경기의 관중 수는 38,556명이었다.

6. 3. 3·4위전

1964년 6월 20일 20시, 헝가리바르셀로나의 캄프 누에서 열린 덴마크와의 3·4위전에서 연장전 끝에 3-1로 승리했다. 헝가리의 베네가 전반 11분에 선제골을 넣었으나, 덴마크의 베르텔센이 후반 82분에 동점골을 기록했다. 연장전에서 노바크가 페널티킥을 포함해 두 골을 추가하며 헝가리가 3위를 차지했다. 이날 경기의 관중 수는 3,869명이었다.

6. 4. 결승전

1964년 6월 21일, 스페인마드리드의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경기장에서 열린 1964년 유러피언 네이션스컵 결승전에서 소련을 2-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페레다가 전반 6분에 선제골을 넣었지만, 2분 뒤 후사이노프에게 동점골을 허용했다. 이후 마르셀리노가 후반 84분에 결승골을 기록하며 스페인의 승리로 경기가 종료되었다. 이날 경기는 79,115명의 관중이 운집한 가운데 진행되었으며, 잉글랜드의 아서 홀랜드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

7. 우승

스페인
1번째 우승


8. 기록

헤수스 마리아 페레다/Jesús María Peredaes1964년 유러피언 네이션스 컵 결승전에서 경기 시작 '''6분'''만에 소련을 상대로 득점을 기록했다.[3]

선수국가득점
추스 페레다헤수스 마리아 페레다/Jesús María Peredaes2
베네 페렌츠베네 페렌츠/Bene Ferenchu2
노바크 데죄노바크 데죄/Novák Dezsőhu2
아만시오 아마로아만시오 아마로/Amancio Amaroes1
마르셀리노 마르티네스마르셀리노 마르티네스/Marcelino Martínezes1
갈림잔 후사이노프갈림잔 후사이노프/Галимзян Хусаиновru1
발레리 보로닌발레리 보로닌/Валерий Воронинru1
빅토르 포네델니크빅토르 포네델니크/Виктор Понедельникru1
발렌틴 이바노프발렌틴 이바노프/Валентин Ивановru1
카를 베르텔센카를 베르텔센/Carl Bertelsenda1



골키퍼수비수미드필더공격수
레프 야신노바크 데죄
페란 올리벨라
펠리시아노 리비야
이그나시오 소코
발렌틴 이바노프
아만시오 아마로
루이스 수아레스
플로리안 알베르트
베네 페렌츠
추스 페레다


8. 1. 득점 순위

선수국가득점
추스 페레다헤수스 마리아 페레다/Jesús María Peredaes2
베네 페렌츠베네 페렌츠/Bene Ferenchu2
노바크 데죄노바크 데죄/Novák Dezsőhu2
아만시오 아마로아만시오 아마로/Amancio Amaroes1
마르셀리노 마르티네스마르셀리노 마르티네스/Marcelino Martínezes1
갈림잔 후사이노프갈림잔 후사이노프/Галимзян Хусаиновru1
발레리 보로닌발레리 보로닌/Валерий Воронинru1
빅토르 포네델니크빅토르 포네델니크/Виктор Понедельникru1
발렌틴 이바노프발렌틴 이바노프/Валентин Ивановru1
카를 베르텔센카를 베르텔센/Carl Bertelsenda1


8. 2. UEFA 토너먼트 팀

골키퍼수비수미드필더공격수
레프 야신 데죄 노바크
페란 올리벨라
펠리시아노 리비야
이그나시오 소코
발렌틴 이바노프
아만시오 아마로
루이스 수아레스
플로리안 알베르트
페렌츠 베네
추스 페레다

[3]

참조

[1] 웹사이트 Spain's Marcelino stoops to conquer Europe http://www.uefa.com/[...] Union of European Football Associations 2003-10-02
[2] 뉴스 Euro 1964: A forgotten Spanish triumph https://www.bbc.co.u[...]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12-05-12
[3] 뉴스 1964 team of the tournament https://www.uefa.com[...] 2020-05-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